Code.Dev_MH
DevMHK
Code.Dev_MH
전체 방문자
오늘
어제
  • 개발자의 일상 (40)
    • Language (5)
      • Java (4)
      • Kotlin (1)
      • Python (0)
    • Back-End (1)
      • Spring (1)
      • Django (0)
      • Error (0)
    • Infra (0)
      • Docker (0)
      • CI, CD (0)
      • AWS (0)
    • CS (12)
      • 컴퓨터 구조(Computer Architectur.. (12)
      • 운영 체제(OS) (0)
      • 시스템소프트웨어(SystemSoftware) (0)
      • 네트워크(Network) (0)
      • 소프트웨어공학(Software Engineerin.. (0)
      • 데이터베이스(DataBase) (0)
      • 자료구조(Data Structure) (0)
      • 알고리즘(Algorithm) (0)
    • Git (0)
    • Algorithm (21)
      • 프로그래머스 (5)
      • 백준 (16)
      • 코딩테스트 후기 (0)
    • 회고 (1)

블로그 메뉴

  • 홈
  • 태그
  • 방명록

공지사항

인기 글

태그

  • 우선순위 큐
  • Greedy
  • 자바와비교
  • 브루트포스
  • INT
  • dp
  • Priority Queue
  • 프로그래머스
  • 백준
  • 너비우선탐색
  • 코틀린장점
  • 코틀린사용이유
  • 제로베이스백엔드스쿨
  • 그리디
  • cs
  • computer architecture
  • java
  • 다이나믹프로그래밍
  • 컴퓨터구조
  • BFS

최근 댓글

최근 글

티스토리

hELLO · Designed By 정상우.
Code.Dev_MH

DevMHK

[컴퓨터 구조] CISC vs RISC
CS/컴퓨터 구조(Computer Architecture)

[컴퓨터 구조] CISC vs RISC

2023. 1. 16. 18:00

1. ARM vs Intel

  • ARM CPU는 스마트폰, 임베디드, IoT 기기에서 많이 사용
    • 굉장히 전력 효율이 좋기에 베터리를 사용하는 기기에서 많이 사용
  • Intel CPU는 노트북, 데스크탑에서 많이 사용
    • 베터리 효율이 ARM보다는 떨어지기 때문에 노트북, 데스크탑에서 많이 사용

1.1 OP Code는 CPU에서 명령어를 제공하는 것

  • 이 명령어를 정의하는 것은 크게 CISC 방식과 RISC 방식 2가지 전략으로 나뉘게 된다.
  • ARM CPU와 Intel CPU는 OP Code도 다르고 명령어를 정의하는 것도 다르다.
  • ARM CPU는 RISC 방식을 따르고 있으며, Intel CPU는 CISC 방식을 따르고 있다.

2. CISC(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er)

  • 하나의 명령어 실행으로 가능한 한 많은 작업을 수행(복합 명령어)
    • ex) (a + b) × b
  • 복합 명령어 수행을 위해 CPU 로직 회로 복잡도 증가
    • 하나의 명령어 실행 시간 증가

2.1. 특성

  • 명령어의 포맷인 길이에 관한 규칙이 없음
  • 하나 이상의 사이클로 명령어(세부 작업) 실행
  • 전체 명령이 얼마나 걸릴지 시간 예측이 어려움
    • 이유: 복합 명령어도 있고 단순 명령어도 있어 명령마다 실행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

3. RISC(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er)

  • 간단한 명령어를 조합해서 실행하면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? 라는 생각
  • 그래서 명령어들이 전부 간단하다.
    • ex) +, -, ×, ÷
  • CPU 로직 회로 복잡도는 낮다.
  • 대신 코드는 길어지면서 복잡해질 수 있다.

3.1. 특성

  • 명령어의 포맷과 길이 고정
  • 하나의 사이클로 명령어(세부 작업) 실행
  • 전체 명령 시간 예측이 가능

반응형

'CS > 컴퓨터 구조(Computer Architecture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컴퓨터 구조] 파이프라인  (0) 2023.01.13
[컴퓨터 구조] 컴퓨터의 CPU 기본 구조  (0) 2023.01.11
[컴퓨터 구조] Instruction Set이란?  (0) 2023.01.09
[컴퓨터 구조] Program Counter(PC)란?  (0) 2023.01.07
[컴퓨터 구조] Accumulator란?  (0) 2023.01.04
    'CS/컴퓨터 구조(Computer Architecture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    • [컴퓨터 구조] 파이프라인
    • [컴퓨터 구조] 컴퓨터의 CPU 기본 구조
    • [컴퓨터 구조] Instruction Set이란?
    • [컴퓨터 구조] Program Counter(PC)란?
    Code.Dev_MH
    Code.Dev_MH
    Back-End 개발자가 되기 위한 개발 노트(Java)

    티스토리툴바