1. RAM(Random Access Memory)
- = 온전한 8 bit latch회로(=Memory)
2. 8 × 1 RAM(=RAM)
- 8개 bit 중 1개의 특정 bit를 쓰고 읽을 수 있는 메모리
특징
- Memory: 데이터를 저장 가능
- Read/Write: 특정 공간에 새로운 데이터 저장, 읽기 가능
- RAM 지정을 통해 특정 공간 값 접근 가능
- 일부 메모리는 순차접근만 가능
3. RAM array
- RAM 을 여러 개를 추가했다는 의미
3.1. 8 × 2 RAM array
- 8 × 1 RAM은 하나의 bit만 쓰고 읽을 수 있음
- 8 × 1 RAM을 두 개 연결하면 8 * 2 RAM array가 됨
- 총 16개 중 address가 8 × 1, 8 × 1로 동시에 가리키기 때문에 두 개의 data를 한 번에 쓰고 한 번에 읽을 수 있음
- 즉, 16개의 공간 중 한 번에 2개씩 읽고 쓸 수 있기 때문에 8 × 2 RAM array
- (= 8개의 data를 읽고 쓰는데 각 데이터는 2 bits)
3.2. 16 × 1 RAM array
- 8 × 2 RAM array 구조에 Select, 1-to-2 Decoder, 2-to-1 selector 추가
-
- 8 * 2 RAM array 구조 위에 1-to-2 decoder 구성하며 data in은 하나
- decoder에서 2개의 data-out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함
- 이 선택을 위해서는 하나의 address가 필요 -> Select
- 총 4개의 address가 필요
- 그래서 총 16개의 공간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는 구조
-
- (= 16개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읽는데, 각 데이터는 1 bit가 됨)
select
- 1-to-2 decoder에만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8 × 2 RAM array 아래의 2-to-1 selector에서 2개의 data-out을 받아서 둘 중 하나를 결정하는 역할
3.3. m × n RAM array
- 8 × 1 RAM을 여러 개 연결하고 여러 개의 Select로 decoder와 selector를 구성하면 많은 데이터를 읽고, 저장 가능
- 예)
- address 10이면 2^10 = 1024
- Data-in: 1byte(8bits)
- 1024 * 8 bits = 8196bits를 다루는 RAM array
3.4. 64K RAM
- 우리나라에서는 큰의미를 가짐
- 주소가 16개(2^16) = 65536
- 데이터는 1 byte씩 = 8 bits
- 총 65536 * 8 bits를 다루는 RAM array
반응형
'CS > 컴퓨터 구조(Computer Architecture)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컴퓨터 구조] Program Counter(PC)란? (0) | 2023.01.07 |
---|---|
[컴퓨터 구조] Accumulator란? (0) | 2023.01.04 |
[컴퓨터 구조] latch 란? (1) | 2022.12.31 |
[컴퓨터 구조] 플립플롭이란? (0) | 2022.11.22 |
[컴퓨터 구조] 반가산기, 전가산기, Oscillator (0) | 2022.11.11 |